맨위로가기

주강 (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강은 중화인민공화국 남부에 위치한 강으로, 원래는 광저우에서 바다까지의 177km 구간을 지칭했으나, 현재는 서강, 북강, 동강과 주강 삼각주를 이루는 여러 지류를 포괄하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주강 유역은 열대 및 아열대 기후로 연간 유량이 중국에서 장강 다음으로 많으며, 주요 도시로는 광저우, 홍콩, 선전 등이 있다. 주강 삼각주는 컨테이너 항구와 고속도로가 발달했으며, 벼농사 기원지로 밝혀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강 - 강주아오 대교
    강주아오 대교는 홍콩, 주하이, 마카오를 잇는 55km 해상 교량·터널 시스템으로, 건설 과정의 여러 논란과 경제적 효율성 논쟁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경제적, 기술적 난관을 극복한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 주강 - 주강 삼각주
    주강 삼각주는 시 강, 베이 강, 둥 강에 의해 형성된 충적 평야로, 홍콩, 마카오, 광저우, 선전 등을 포함하며, 중국 개혁개방 이후 제조업 중심지이자 세계적인 항만 도시로 발전했지만,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환경 오염 문제가 심각하다.
주강 (강)
지도
일반 정보
이름주강 (중국어: 珠江)
다른 이름웨강 (중국어: 粤江, 월강)
어원불명
지리
국가중국, 베트남
윈난성, 구이저우성, 광시 성, 광둥성, 홍콩, 마카오, 까오방 성, 랑선 성
발원지여러 지류의 수원
하구남중국해
하구 위치광둥성
하구 고도0m
흐름남중국해
수계주강
길이359km (주강), 2,271.8km ~ 2,400km (주강 - 시강 - 쉰강 - 첸강 - 홍수이강 - 난판강)
유역 면적453,700km2
왼쪽 지류베이강(북쪽), 둥강(동쪽)
오른쪽 지류시강(서쪽)
주강 삼각주 방류량최소: 3,600 m³/s
평균 (2010–2020): 9,631 m³/s
평균: 9,500 m³/s
최대: 34,000 m³/s

2. 명칭

원래 주강은 광저우에서 바다까지의 177km 구간만을 가리켰다. 광저우 앞에 있던 "해주석(海珠石)"이라는 이름의 암초에서 유래했다. (이 암초는 수로 변경으로 현재는 강변에 있다.) 점차 주강은 광저우 전후에서 합류하는 서강(西江), 북강(北江), 동강(東江)이라는 세 개의 큰 강과 주강 삼각주를 형성하는 여러 분류의 총칭이 되었다.

3. 지리

주강 유역 면적의 94.5%는 산지와 구릉이며, 나머지 5.5%의 평지는 강변 각지에 분산되어 있다. 가장 큰 평야는 충적 평야인 주강 삼각주이다. 지형은 운귀고원과 청장고원의 끝에 걸쳐 있는 북서쪽이 높고, 남동쪽이 낮다. 운귀고원 동쪽에는 양광구릉(兩廣丘陵)이라 불리는 저산과 구릉 지대가 펼쳐진다.

광저우 시내를 흐르는 주강과 유람선. 뒤쪽은 광저우 동탑과 광저우 서탑이다.


주강의 본류인 '''서강(西江)'''은 운남성 북동부 곡정시첨익구에 있는 마웅산(馬雄山)에서 발원하여 운남성, 귀주성, 광서장족자치구, 광동성의 4개 성·자치구, 홍콩, 마카오를 거쳐 바다로 흘러든다. 유역 면적은 353000km2이며 전체 유역 면적의 80%를 차지한다.

서강 상류에서는 부분적으로 이름이 바뀐다. 남반강(南盤江)과 북반강(北盤江)의 합류 후 서강 본류가 시작되지만, 이 시점의 명칭은 홍수하(紅水河)이다. 동쪽으로 급류를 흘러 류강(柳江)과 합류한 후 대등협(大藤峽)을 지나면 검강(黔江)이라 부른다. 검강과 울강(鬱江)이 합류한 후에는 섬강(潯江)이라 불리며, 우주(梧州)에 이르러 계강(桂江)(이강(漓江))과 합류하여 비로소 서강이라는 이름이 된다. 상류 고원 지대에는 급류와 폭포가 많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지류인 백수하(白水河)에 있는 황과수폭포(黄果樹瀑布)가 있다.

주강 삼각주 지도(1910년 발행)


주강 삼각주에는 호문(虎門), 조문(蕉門), 홍기문(洪奇門), 횡문(橫門), 마도문(磨刀門), 계제문(雞啼門), 호도문(虎跳門), 애문(崖門)의 여덟 개 하구가 있으며, 광대한 삼각주를 형성하며 남중국해로 흘러든다.

3. 1. 기후 및 수량

주강 유역은 열대아열대에 속하며, 4월부터 9월까지 강수량이 비교적 풍부하기 때문에, 주강은 수량이 많은 시기가 길다. 봄에서 초여름에 걸친 시기가 강수량이 가장 집중되는 시기이며, 홍수 또한 이 시기에 집중된다. 유역 내 연간 유량은 3412억m3에 달하며, 그중 가장 많은 서강의 유량이 2670억m3로 유역 전체의 80%를 차지한다. 북강은 475억m3, 동강은 272억m3이며, 중국에서는 창 강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유량을 자랑하며, 황허의 총 유량의 두 배 이상이 된다. 홍콩의 수자원의 7할은 광동성으로부터 구매하는 동강의 물에 의존하고 있다.

4. 교통

주강은 화물 수송에 있어 장강 다음가는 중화인민공화국 제2의 내륙 수로이다. 본류는 바이써 이동(以東)은 기선이 통항할 수 있으며, 지류 대부분도 기선 또는 범선의 통과가 가능하다.[8]

5. 주강 삼각주



광저우 타워에서 내려다본 광저우 시내 주강


'''주강 삼각주'''는 전 세계로 수출입 화물을 취급하는 많은 컨테이너 항구가 있는 곳이다.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고속도로와 새로운 주택 단지, 공장 건설 등으로 인해 벼농사를 중심으로 하던 경관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주강에는 1987년에 건설된 높이 약 250m의 세계 최고 높이 초고압 철탑 3개가 강 속에 세워져 500kV 삼상 교류 전력선을 가로지르고 있다. 2018년에는 홍콩, 주하이, 마카오를 잇는, 주강 하구를 횡단하는 항주아오 대교(港珠澳大橋)가 완공되었다.

6. 주요 도시

도시
광저우
홍콩
선전
둥관
포산
마카오
주하이
중산
장먼
우저우
자오칭
난닝
류저우
구이린
판위
구이핑
바이서
카이핑
자오핑


7. 주요 교량


  • 광저우 대교
  • 하이인 대교
  • 하이주 대교
  • 홍콩 주하이 마카오 대교 (홍콩-주하이-마카오를 연결하는 이 다리는 대한민국에게도 동아시아 지역 협력 강화의 상징으로 여겨질 수 있다.)
  • 화난 대교
  • 후먼 주강 대교
  • 허둥 대교
  • 황푸 대교
  • 장완 대교
  • 제팡 대교
  • 난사 대교
  • 파저우 대교
  • 인민 대교
  • 스즈양 터널
  • 신광 대교
  • 야지샤 대교
  • 선전-중산 대교 (건설 중)

8. 문화

주강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브랜드가 여럿 있다. 광저우의 주강맥주는 중국에서 세 손가락 안에 드는 대형 맥주 회사이며, 펄리버 브리지(Pearl River Bridge)는 광저우의 인기 있는 식품 제조업체이다.

9. 벼농사 기원

2012년에 야생벼(Oryza rufipogon) 446계통과 벼(Oryza sativa) 1083계통의 게놈 분석을 통해 벼 재배화의 기원지가 주강 중류 지역임이 밝혀졌다.[6][7]

10. 지류

주강의 주요 지류는 서강, 북강, 동강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 서강의 지류
  • Yu River (Guangxi)|위장강|위장강중국어
  • Xun River|쉰장강|쉰장강중국어
  • Gui River|구이장강|구이장강중국어
  • 허강
  • 롄강
  • 북강의 지류
  • (없음)
  • 동강의 지류
  • 베이링수이
  • 신펑
  • 치우샹
  • 공주앙수이
  • 시즈
  • 시마허
  • 기타 지류
  • * 유
  • * 순
  • * 귀


각 지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10. 1. 서강(西江) 지류


  • 서강(西江)
  • * 하강
  • * 계강(桂江)
  • ** 이강(漓江)
  • * 섬강(浔江)
  • ** 울강(鬱江)-옹강(邕江)

좌강(左江)
우강(右江)

  • * 검강(黔江)
  • ** 류강(柳江)

융강(融江)
룡강(龙江)

  • ** 홍수하(红水河)

북반강(北盤江)
남반강(南盘江)
* 바강(巴江)
* 곡강(曲江)
** 련강(练江)

10. 2. 북강(北江) 지류


  • 북강
  • * 浈江 (河流)|전강|preserve=1중국어

10. 3. 동강(東江) 지류


  • 동강
  • * 新丰江|신펑강중국어
  • * 寻乌水|심오수중국어
  • * 定南水|정남수중국어

10. 4. 주강 삼각주 내 하천

주강 삼각주에는 여덟 개의 하구가 있는데, 각각 호문(虎門), 조문(蕉門), 홍기문(洪奇門), 횡문(橫門), 마도문(磨刀門), 계제문(雞啼門), 호도문(虎跳門), 애문(崖門)이라 불리며, 광대한 삼각주를 형성하며 남중국해로 흘러든다.

주강 삼각주에 속하는 하천은 다음과 같다.

  • 流溪河|류계하중국어
  • 심천하(深圳河)


; 서강(西江) 지류

  • 서강(西江)
  • * 贺江|하강중국어
  • * 계강(桂江)
  • ** 이강(漓江)
  • * 浔江|섬강중국어
  • ** 울강(鬱江)-옹강(邕江)

좌강(左江)
우강(右江)

  • * 黔江|검강중국어
  • ** 류강(柳江)

융강(融江)
龙江 (柳江)|룡강중국어

  • ** 红水河|홍수하중국어

북반강(北盤江)
南盘江|남반강중국어
* 바강(巴江)
* 曲江 (南盘江)|곡강중국어
** 练江 (猊江)|련강중국어

; 북강(北江) 지류

  • 북강(北江)
  • * 浈江 (河流)|소강중국어


; 동강(東江) 지류

  • 동강
  • * 新丰江|신풍강중국어
  • * 寻乌水|심오수중국어
  • * 定南水|정남수중국어

참조

[1] 논문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streamflow in the Pearl River Basin: Controls of land surface processes and atmospheric impacts https://onlinelibrar[...]
[2] 논문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streamflow in the Pearl River Basin: Controls of land surface processes and atmospheric impacts https://onlinelibrar[...]
[3] 웹사이트 Chapter 5: Plate D-6 — GES DISC: Goddard Earth Sciences, Data & Information Services Center http://disc.sci.gsfc[...] Disc.sci.gsfc.nasa.gov 2012-11-08
[4] 논문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streamflow in the Pearl River Basin: Controls of land surface processes and atmospheric impacts https://onlinelibrar[...]
[5] 웹사이트 珠江概况 http://www.pearlwate[...] 珠江水利网 2013-03-08
[6] 논문 A map of rice genome variation reveals the origin of cultivated rice https://www.nature.c[...] 2018-11-18
[7] 웹사이트 イネの栽培化の起源がゲノムの全域における変異比較解析により判明した http://first.lifesci[...] ライフサイエンス統合データベースセンター(DBCLS) 2012-11-12
[8] 백과사전 주장강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